2030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자산 형성 비법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에게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금융상품이다. 매달 최대 70만원까지 저축할 수 있고,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 혜택까지 더해 5년 뒤 약 5000만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소득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, 청년 재테크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.
청년도약계좌, 누가 가입할 수 있나요?
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중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인 사람만 가입할 수 있다. 특히 병역 기간이 포함되면 만 35세 이상도 가능하다. 가구 중위소득 250% 이하 조건도 확인해야 한다.
월 최대 70만원,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구조
본인이 직접 매달 1000원부터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. 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본인 적립금만 최대 4200만원에 달한다. 단, 매월 동일 금액을 유지하는 것이 더 큰 혜택을 받는 핵심이다.
정부 기여금,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
정부는 소득에 따라 본인 납입액의 3~6%를 추가 지원한다. 소득이 낮을수록 지원 비율이 커진다. 연 2400만원 이하라면 최대 6%를 받을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. 5년간 정부 기여금으로 최대 800만원까지 쌓을 수 있다.
소득 기준 | 정부 기여금 비율 |
---|---|
연 2400만원 이하 | 최대 6% |
연 6000만원 이하 | 최대 4% |
연 7500만원 이하 | 비과세 혜택만 적용 |
이자와 비과세 혜택까지 더한 수익
청년도약계좌는 3년간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를 적용한다. 평균 금리는 연 6% 수준이며, 이자 및 배당소득이 비과세된다. 실질적인 금리 혜택은 연 9.54%에 달하며, 청년들이 목돈을 모으기에 최고의 조건을 갖췄다.
만기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나 될까?
5년간 매달 70만원을 저축하면 본인 납입액 4200만원, 정부 기여금 최대 800만원, 이자까지 합산해 5000만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다. 실제 수령액은 가입자의 소득과 은행 이율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.
항목 | 금액 |
---|---|
본인 납입액 | 4200만원 |
정부 기여금 | 최대 800만원 |
이자 및 혜택 | 200만원+ |
최종 수령액 | 5000만원+ |
중도해지 시에도 혜택을 지킬 수 있을까?
결혼, 출산, 주택 구입, 장기 질병 등 특별한 사유로 중도해지하면 만기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. 3년 이상 유지 후 해지 시에는 정부 기여금의 일부(60%)를 받을 수 있고, 비과세 혜택과 우대금리도 일부 보장된다.
신청 방법과 기간은 어떻게 될까요?
2025년 7월 기준으로, 7월 1일부터 11일까지 9영업일 동안 접수할 수 있다. 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우리은행, 농협은행 등 주요 12개 시중은행에서 신청 가능하다. 빠른 신청과 준비가 필요하다.
청년이라면 놓치지 말아야 할 기회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탄생한 제도로, 높은 수익률과 정부 지원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. 조건을 잘 확인하고, 자신에게 맞는 계획을 세운다면 5년 뒤 든든한 종잣돈을 만들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.
7월부터 헬스장·수영장도 소득공제! 혜택 총정리
건강과 지갑을 동시에 챙기는 꿀팁, 궁금하지 않으신가요?2025년 7월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가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새롭게 포함됩니다. 이번 제도는 국민의 건강 증진을 돕고 체육활동
info-neopluto.co.kr
사망 후 재산 조회, 안심상속서비스 바로 알아보기
정부24에서 제공하는 안심상속서비스 어떻게 이용하나요?사망자의 금융자산이나 보험 증권, 부동산 등 상속재산을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정부24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이용 절차와 팁을
info-neopluto.co.kr
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월부터 시작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, 대출 한도 얼마나 줄어드나? (0) | 2025.07.02 |
---|---|
경기도, 전국 최초 ‘주 4.5일제’ 시범사업 전격 시행! (0) | 2025.06.20 |